실물경기 침체와 함께 중소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되면서 워크아웃 대상기업이 큰 폭 증가한 가운데 은행신규여신 지원은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국내은행이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신규 선정한 중소기업은 580개사에 달했다. 이는 전년의 126개에 비해 360% 급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분기는 전년도 결산실적이 정해지지 않아 신규선정업체 수가 가장 적은 시기.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중소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되면서 은행권이 적극적인 워크아웃을 추진한 것이 선정업체 증가에 주효했다.
신규 선정 업체가 늘어난 가운데 1분기에 워크아웃을 종료한 업체도 증가했다. 1분기에만 419개 업체가 워크아웃을 마쳤다. 이는 전년의 234개에서 185개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경영정상화가 아닌 부도발생 등으로 중단한 업체가 더 많아 경기침체를 여실히 반영했다.
1분기 정상화를 통해 워크아웃을 졸업한 업체가 전년 대비 74개 늘어난 228개였던 것에 비해 부도발생 등으로 중단한 업체는 191개로 111개 증가했다.
2004년 7월 워크아웃제도가 시행된 이후 지난 3월말까지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선정된 곳은 7267개사로 이중 5423개(74.6%) 기업의 워크아웃이 종료됐으며 1844개(25.4%) 기업에 대한 워크아웃이 진행 중이다.
워크아웃이 종료된 업체 중 경영이 정상화된 곳은 67.1%인 3636개, 부도발생 등으로 중단한 업체는 32.9%인 1787개였다.
은행권은 1분기 워크아웃 대상기업에 전분기 대비 320억원 늘어난 1조427억원을 지원했으나 신규여신 증가율은 16.3%에 그쳐 은행들이 중기대출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반영했다.
1분기 은행권은 워크아웃 대상기업에 만기연장 8423억원, 이자감면 59억원, 신규여신 1699억원을 지원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금융위기 여파로 워크아웃 대상 신규선정 업체수가 크게 늘어났다며 "현재 진행 중인 대기업 및 업종별 구조조정과 병행해 중소기업에 대해서도 신용위험 평가를 통한 워크아웃 확대 등 구조조정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워크아웃 추진현황
(단위 : 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