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수가 다시 최고를 기록했다.
15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16만5천641가구로 집계돼 정부가 미분양주택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3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시행과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불거진 미분양사태는 작년 11월(16만2천570가구)과 12월(16만5천599가구)에 2개월 연속 사상 최고를 기록했었다.
올해 들어서는 1월(16만2천693가구)과 2월(16만1천972가구)에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다시 1개월 새 3천669가(2.3%)나 늘었다.
3월에 미분양주택이 늘어난 것은 그동안 미분양으로 신고하지 않았던 주택을 새로 미분양으로 등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미분양주택 구입 시 양도세 한시 면제 혜택을 주는 대상을 4월 말까지 신고된 미분양주택으로 한정함에 따라 신규 신고가 많았다는 설명이다.
특히 수도권에서 미분양이 많이 늘어났다. 수도권에서는 3천415가구(13.6%)가 늘어 전체적으로는 2만8천600가구의 미분양이 기록됐다. 지방에서는 254가구(0.2%) 늘어난 13만7천41가구이다.
준공 후 미분양은 5만1천796가구(수도권 2천78가구, 지방 4만9천718가구)로 1개월 새 808가구(수도권 732가구, 지방 76가구)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3천635가구(17.8%)가 늘어나면서 2만4천40가구로 가장 많았고 충북도 1천702가구(26.7%) 증가하면서 8천87가구로 불었다.
대구(2만402가구), 경북(1만5천985가구)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경남(1만4천460가구)에서는 1천683가구(9.9%)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