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 년간 국내 은행들의 수익성 지표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예대마진 위주의 영업방식은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고 신종 사업을 육성하는 한편 각 은행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 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조언한다.
◆ 비은행 수익 비중을 높여라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비은행 금융기관들의 경쟁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저금리 기조로 예금에 대한 매력도 예전만 못한 만큼 은행권의 수신 기반은 갈수록 약화될 수 밖에 없다.
예대금리차를 활용해 이자수익을 챙기는 영업으로는 신규 수익을 창출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실제로 일본은행의 경우 순이자마진(NIM)이 이익분기점 수준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오랜 불황에 제로금리에 가까운 저금리 기조까지 이어져 온 탓이다.
노강석 기업은행 재무기획부장은 "향후 국내 은행들이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거나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조달비용을 최대한 낮추면서 NIM을 높이는 한편 카드 등의 비은행 수익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주회사 전환이 필수적이다. 국내 4대 시중은행의 경우 이미 지주회사 체제를 도입한 만큼 계열사 간 경쟁을 유도해 비은행 계열사의 역량을 끌어올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유재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비은행 수익은 수수료나 유가증권 등이 차지하는데 은행만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며 "궁극적으로 지주회사로 전환해 계열사끼리 범위의 경쟁을 벌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은행 부문의 범위가 넓어지면 비이자 수익 비중도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투자은행(IB) 역량 제고와 신종 사업 육성도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전용식 우리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등이 파생상품에서 엄청난 손실을 기록하면서 IB 쪽이 위축되고 있다"며 "그러나 글로벌 금융시장으로 진출하려면 IB를 강화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연구위원은 "저신용층에 고금리로 대출을 해주는 마이크로크레딧(소액서민금융) 사업도 활성화해야 한다"며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 이용 고객의 80% 가량이 대출을 원활하게 상환하고 있는 만큼 생각보다 리스크가 높지 않으면서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최호상 외환은행 이코노미스트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노년층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관련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며 "특히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투자자 보호가 강조되고 있어 노년층 고객에 대해서는 은행이 강점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 은행별 특화전략 필요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형 IB 모델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향후 은행산업은 상업은행(CB) 중심으로 하향 평준하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그러나 경기가 회복기로 접어들면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비한 은행별 특화전략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데 민영화 및 지주회사 전환을 앞두고 있는 산업은행은 IB 부문에 무게를 둔 기업금융투자은행(CIB) 체제로 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기업금융에 강하고 수신기반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IB 체제로 가고,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전통적인 CB 모델을 강화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송태정 우리금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국내 금융시장 내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어 은행들이 자신만의 색깔을 살려야 한다"며 "안정적 수익기반이 강점인 CB와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IB를 모두 챙기기는 어렵기 때문에 자본의 성격에 맞게 체제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