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과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으나 북한이 (우리의)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1년씩 남북간 경색이 있었고 지난 정부 때는 1년 뒤에 풀렸으나 지금은 더 지속하고 있는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문제, 승계문제 등이 있어서 상황이 더 복잡하게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현대아산 직원 유모씨의 북한 억류가 지속되고 있는 것과 관련, "우리가 북한에 (협상) 대표단 명단과 날짜를 제시하면서 유씨 문제에 대해 책임있는 답변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왔으면 좋겠다고 했으나 북한은 일방적으로 조사중이기 때문에 의제가 아니라고 한다"면서 "일단 만나서 협의를 해보자는 것이 우리 입장인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개성공단을 계속해 나가는 데도 지장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공단이 잘되게 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상황이 여의치 못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북한이 국가간 관례와 예절에 따라 얘기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나 일방적으로 `이렇게 하면 들어라, 아니면 나가라'는 식은 안된다"고 강조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문제를 논의할 용의가 있고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유씨를 기소할 가능성에 대해선 "북한이 지금까지 일방적으로 해 와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남북 합의에 따르면 추방 이상의 조치를 하기 위해선 우리와 합의해야 하는데 그런 절차가 지켜지길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에 억류중인 미국 여기자들의 사례를 들어 "민족 대 민족인데 최소한 접견권은 보장해야 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고위급 협상채널 가동 여부에 대해 "북한이 응해 온다면 그럴 수도 있으나 아직 저쪽에서 징후나 사인이 없다"면서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는 한 무슨 얘기를 해도 소용 없는 것 아닌가"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