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를 애도하기 위한 국민장 기간에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코스피가 한때 90포인트 가까이 폭락하며 투자자를 공포로 몰아넣었다.
그러나 국내ㆍ외 신용평가기관과 증권가에서 두 악재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제한적으로 평가하면서 지수는 곧바로 안정을 되찾았다.
다만 국가 위험도 상승으로 외국인이 투자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증권가는 투자주체별 매매동향을 점검하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25일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2.85포인트(0.20%) 하락한 1400.90을 기록하며 보합권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한때 87.92포인트(6.68%) 떨어진 1315.21까지 폭락하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반발 매수가 늘어나면서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다. 외국인과 개인은 2093억원과 2491억원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4598억원 순매도로 약세를 부추겼다.
증권가에선 그동안 북한발 악재로 인한 충격이 미미했다는 점에서 이번 핵실험도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강현철 우리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사일 발사나 총격전 같은 북한발 악재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했다"며 "장중 또는 하루 이틀 사이에 회복돼 왔다"고 말했다.
실제 서해교전이 발생했던 2002년 6월 29일 코스피는 0.47% 상승했고 북한 핵실험이 있었던 2006년 10월 9일엔 2.41% 하락하는 데 그쳤다. 이날도 마찬가지로 6% 이상 급락했던 지수는 낙폭을 대부분 만회하며 거래를 마쳤다.
외국에서 이번 핵실험을 보는 시각도 부정적이지 않다.
선승수 대우증권 연구원은 "영국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투자심리도 빠르게 살아나고 있다"며 "지정학적 이슈에 따른 급락을 오히려 저가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전했다.
미국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도 이번 핵실험에 대해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에 즉각적인 관련이 없다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3월 이후 급등장을 주도해 온 외국인이 국가 위험도 상승을 우려해 매수 규모를 줄일 가능성은 있다.
이영곤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이 가장 민감하게 여기는 국가 위험도 문제인 만큼 향후 투자 동향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며 "상승장을 이끌었던 외국인이 이탈할 경우 중ㆍ장기적으로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정책 관련주는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여야 갈등이 증폭될 경우 국회 처리를 앞둔 미디어법을 포함한 쟁점 법안이 발목을 잡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반영되면서 미디어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이 잇따라 하향 조정되기도 했다.
윤지호 한화증권 연구원은 "당장 파장은 적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지만 사회불안이 확대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며 "결국 정부가 얼마나 신속하고 전향적으로 사회적인 갈등을 봉합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전했다.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