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지경·금융위 3개부처 비상대책팀 전격 가동
정부는 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을 전격 강행하자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비상대응체제를 가동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NSC회의에서 통일, 재정기획부 등을 중심으로 안보상황과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신속대응체제를 구축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관련기가 5.11면>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공식성명을 통해 “이번 핵실험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북아시아를 포함한 세계평화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며 핵 비확산체제에 대한 도전”이라며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과 6자회담 합의 의무를 저버린 것이며 추가핵실험을 규제한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는 도발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부처내 ‘북한 핵실험 상황실’을 개설하고 24시간 활동체제에 들어갔다. 상황실은 양창석 정세분석 국장을 실장으로 정책실과 정세분석국 등 관련 실국 담당자 1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상황실은 개성공단내 체류국민의 신변안전보장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또 재정부는 경제적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대응조치를 강구하기 위해 허경욱 차관을 팀장으로 비상대책팀을 구성, 운영에 본격 돌입했다. 지난 4월 북한 로켓 발사때 운영된 바 있으며 이번에도 총괄대책팀과 국제금융시장대책팀 등 5개 분야(재정부, 지식경제부, 금융위원회 등 3개 부처)로 구성돼 일일 단위로 경제상황을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과거 북한 핵실험 때도 금융 시장이 조금 흔들렸다가 바로 회복했던 적이 있다”며 “이번에도 과거의 학습효과에 따라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26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허 차관, 금융위 부위원장, 한국은행 부총재 등이 참석한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향후 상황 전개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제때 추진키 위해서다.
한편 이날 소폭 약세를 출발한 코스피지수는 오전 11시40분경 북한의 핵실험 소식이 전해지면서 1315선까지 순식간에 100포인트가 급락했다. 거의 패닉 상태에 빠졌던 주식시장은 이날 오후 ‘비상금융합동대책반 회의’를 개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융안정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에 다시 보합권 수준으로 올라서며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그러나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까지 들리면서 다시 1370선대로 하락하는 등 또 한차례 출렁거림이 연출한 끝에 1400.9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