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금융위기 이후 對아시아 투자 50% 급감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기업들의 아시아 시장에 대한 투자가 절반 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가 26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한·중·일 3국의 대(對)아시아 현지진출전략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일 3국은 금융위기 이후 상반된 대아시아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아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가 전년동기대비 약 5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대외투자는 27% 낮아졌다.

반면 중국은 위안화 절상과 중국내 임금수준 상승, 높아진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아세안(ASEAN) 국가의 수력, 광물 등 자원 분야에 대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도 지난해 3분기 아세안 지역에 대한 투자가 감소했으나 4분기에는 대폭 증가한 것으로 평가됐다. 세계적인 주가하락과 연고현상으로 좋아진 투자여건을 십분 활용한 인수합병(M&A) 형태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한국은 캄보디아와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으로 대변되는 아세안 후발 4개국(CLMV)에 대한 투자는 일본과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의 경우 지난 2007년 누계 기준 한국이 최대 투자국이었다. 

이에 따라 코트라는 국내 기업의 아세안 국가별 투자전략을 제시했다.

필리핀과 미얀마는 광물 등 에너지 확보에,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IT 분야에 대한 투자가 유망하다고 분석했다. 베트남은 기술기반과 부품 소재 등으로 투자분야를 다각화하고, 원조 프로젝트 수주에도 신경쓸 것으로 주문했다.

캄보디아는 농업 및 농산물 분야로, 싱가포르는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패션의류 분야로 각각 진출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코트라는 설명했다.

기세명 코트라 아대양주팀장은 "아세안과 인도가 우리나라 총 투자의 20%를 차지하는 전략시장"이라며 "우리나라의 압축 성장 경험을 전수하고 쌍방향 협력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투자진출과 함께 광물자원 개발 및 환경, 에너지 분야로의 투자진출을 다각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