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신성장동력에 5년간 25조원 투자

 
정부는 향후 한국 경제를 이끌 녹색기술, 첨단융합, 고부가서비스 등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산업에 앞으로 5년간 24조5천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와 함께 신성장동력 핵심인력 70만명을 양산하고, 글로벌 중소기업 300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정부는 26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200개 세부 실천과제를 발굴, 추진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3대 분야별 세부 실천과제는 녹색기술산업 분야에서 핵심원천기술개발 등을 중심으로 79개 과제가 선정됐고, 첨단융합 분야와 고부가서비스 분야에서는 인프라 구축과 경쟁환경 제도개선을 주축으로 각각 62개와 59개 과제가 포함됐다.

이들 200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정부는 향후 5년간 총 24조5천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 예산으로는 14조1천억원이 책정됐으며, 3대 분야별 예산 규모는 ▲녹색기술 6조7천억원 ▲첨단융합 12조2천억원 ▲고부가서비스 5조5천억원 등이다.

정부는 올해 2조6천억원 규모인 신성장동력 재정규모를 2013년에는 5조3천억원으로 대폭 늘리는 등 신성장동력에 정부재정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17개 산업별 대책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전략지도, 인력양성, 중소기업지원 등 기능별 대책도 제시했다.

기술전략지도에는 신성장동력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62개 '스타 브랜드'를 상정하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1천197개 핵심기술이 발굴됐다.

각 기술은 정부, 민간, 민간합동 등 각각의 개발주체와 더불어 기술별 기술수준과 목표, 개발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정부는 또 향후 10년간 신성장동력을 선도할 핵심인력 70만 명을 양성키로 하고,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고등교육특화사업 등 4개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3년까지 '글로벌 톱10' 및 수출액 5천만 달러 이상인 '글로벌 중소기업' 300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도 수립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정부와 민간의 명확한 역할분담을 전제로 수립했다"면서 "정부는 고위험.원천 기술개발과 제도개선 등 민간의 투자환경조성에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