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잇단 단거리 미사일 발사 배경은


북한이 전날에 이어 26일에도 동해안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이날 오후 함경남도 함흥 이남의 한 포병부대에서 지대공과 지대함으로 추정되는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앞서 지난 25일 오전에 이뤄진 핵실험 직후인 낮 12시8분에 단거리 미사일 1발을, 오후 5시3분께 2발을 각각 동해상으로 발사하기도 했다. 이틀간 단거리 미사일을 총 5발 발사한 것이다.

여기에다 북한은 25~27일 평안남도 증산군의 서해상에 선박 항해금지구역을 선포,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예견되는 상황이다.

군 관계자들은 전날 동해상에서 발사된 3발의 단거리 미사일은 핵실험장 동향 정보를 수집하려는 미국과 일본의 정찰기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날 동해상으로 2발의 미사일을 발사한 것도 핵실험 이후 대기분석을 위한 정찰기와 정보수집함의 활동을 저지하려는 의도에서 취해진 조치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은 북한 핵실험으로 방출된 방사능을 채집하기 위해 WC-135C 특수정찰기를 동해상으로 급파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항공기는 날개 윗부분 동체 옆면에 방사능 물질을 포함한 대기성분 채집기가 달렸는데 채집기 내부 온도를 영하 50도 이하로 낮추면 공기 중의 핵물질이 달라붙는다.

보통 핵실험 때는 원자가 인공적으로 깨지면서 크세톤(Xe-135)과 크립톤(Kr-85), 세슘(Cs-137) 등의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는데 이들 방사능의 비율을 측정하면 핵실험 여부는 물론 농축우라늄 폭탄인지, 플루토늄 폭탄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 동해와는 달리 서해안에서 단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를 하는 것은 일종의 무력시위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북한은 지난 25일 평안남도 증산군의 서해상에 선박 항해금지구역을 선포한 뒤 단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를 하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는 것.

이미 북한은 남한 정부가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의 전면 참여를 선언하면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군사적 도발이 예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서해 항해금지 종료일인 27일에 단거리 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한다면 비록 사전에 예고된 조치라고 하지만 이는 남측의 정책결정에 대한 불만 표시일 수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전문가는 "북한이 동해안에서 미사일을 쏜 것은 핵실험에 따라 있을 수 있는 대응차원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서해안에서 단거리 미사일 발사는 무력시위 차원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