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장의위원회가 총 1383명으로 구성됐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장의위원회는 총 1383명으로 입법·사법·행정 3부의 전·현직 고위공무원, 대학총장·종교계·재계·시민사회 등 사회지도층 인사와 유족이 추천한 친지 및 친분이 있는 인사 등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는 장의위원회 사상 최대 규모로,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전 국민적 추모열기와 유족 및 정부 측이 합의해 구성한 장의위원회의 취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행안부 측은 설명했다.
지난 2006년 최규하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의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고문 55명, 국회부의장과 선임 대법관, 감사원장과 부총리 등 부위원장 8명, 위원 616명 등 총 680명으로 구성됐다.
1974년 8월 국민장으로 치러진 박정희 전 대통령 부인 육영수 여사의 장의위원회는 위원장 1명, 고문 22명, 부위원장 2명, 위원 713명 등 총 738명, 1979년 10월 국장(國葬)으로 엄수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의위원회는 위원장 1명, 고문 25명, 부위원장 2명, 위원 656명 등 총 691명이었다.
그동안 전·현직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인사의 국장(國葬)이나 국민장 때 구성된 장의위원회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고문은 3부 요인과 정당대표, 친지, 기타 저명인사가, 부위원장은 국회부의장과 감사원장 등이 각각 맡았다.
또 장의위원은 3부의 장관급 이상과 국가유공자단체, 사회·종교·경제·교육·금융·언론 등 사회단체 대표 등으로 구성했다.
여기에다 행안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집행위원에는 외교통상부(의전), 기획재정부(재정), 문화체육관광부(홍보), 경찰청장(경호) 등이 참여해 왔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장의위원회의 구성 방법은 과거 사례와 비슷하나 유족 측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규모가 매우 커졌으며 운영위원이 처음 생겼다.
공동위원장은 한승수 국무총리와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맡고, 집행위원장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운영위원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선임됐다.
부위원장은 이윤성·문희상 국회 부의장을 비롯한 15명, 고문은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과 3부 요인, 정당 대표, 전 국무총리 등 59명으로 구성됐다.
집행위원에는 정부측의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외교.의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재정),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홍보), 강희락 경찰청장(경호)이 선임됐다.
반면 이번에 처음 구성된 운영위원은 노 전 대통령 측인 권오규 전 부총리,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이용섭 전 건설교통부 장관, 윤승용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 천호선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이 맡게 됐다.
장의위원은 국회의원과 국회사무처 차관급 이상 278명, 대법원 대법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 55명, 행정부 장·차관급과 각종 위원회 위워장 등 116명, 시·도지사 16명, 17대 국회의원 155명, 전직 장.차관급 이상 281명, 친지 및 유족 추천인사 111명 등 모두 1296명이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오는 29일 11시에 경복궁 앞뜰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이보람 기자 bora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