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이 파산보호 절차에 들어가 우량 자산을 떼어내 새로운 회사인 '뉴(New)GM'으로 재탄생하면 GM대우를 우량 자산으로 분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면서, 주채권은행이자 2대주주인 산업은행의 공세도 강경하다.
산업은행 고위관계자는 29일 "GM 본사가 GM대우를 앞으로 하이브리드카, 소형차의 핵심 생산본부로 하겠다는 보장 없이는 유동성을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GM대우가 '굿 컴퍼니(Good company)'로 편입될 가능성을 60% 이상으로 보고 있다"며 "GM대우가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년간 생산을 확대해주는 것만으로는 어렵고 중장기적으로 GM대우의 성장과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확고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유성 산업은행장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GM본사로부터 GM대우를 단순히 GM의 조립 공장이나 하청 생산공장이 아닌 글로벌 전략에 따른 핵심기지로 한다는 보장을 받아야만 유동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산업은행은 닉 라일리 GM아시아태평양본부 사장 등 GM 측 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GM이 GM대우를 우량 자산으로 분류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닉 라일리 사장도 "GM대우는 소형차 신차 개발과 제조에서 중요한 사업장인 만큼 끝까지 함께 갈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반면 GM이 GM대우를 바로 우량 자산으로 분류하지 않고 우리 정부와 산은의 자금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 카드로만 이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출비중이 80%를 넘는 GM대우는 GM의 해외판매망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 대다수 부품업체들도 국내 업체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산업은행은 GM 본사에 GM대우의 핵심 역할과 장기 발전을 보장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GM대우의 보유 지분이나 기술 라이선스, 호주의 엔진공장 등을 넘겨달라는 방안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GM이 대주주인 상황에서 GM대우에 대한 지원이 여의치 않을 수도 있는 만큼 산업은행이 GM대우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하거나 지원자금을 출자전환해 보유 지분을 높이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GM대우 지분은 GM측과 산업은행이 각각 72%, 28%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GM 측이 GM대우를 굿 컴퍼니로 분류하지 않고 버리고 간다는 결정을 내리면 GM대우는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산업은행은 지난 2월 초 GM대우의 자금 지원 요청에 대해 미국 정부의 GM 처리방향을 보고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지원 결정을 미뤄왔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