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國民葬) 영결식이 거행된 서울 경복궁 앞뜰은 애도를 위한 시민 약 3000여명으로 가득 찼다.
29일 오전 11시 노 전 대통령의 국민장 영결식에는 이명박 대통령 내외를 비롯한 전 대통령, 국무총리 등 정‧관계 주요인사와 유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거행됐다.
이날 운구차량 행렬이 식장으로 들어서면서 시작된 영결식은 군악대의 조악 연주로 시작됐다. 송지헌 아나운서의 사회로 국민의례, 고인에 대한 묵념, 장의위원회 집행위원장인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고인 약력보고가 이어졌다.
한승수 총리는 조사에서 "노 전 대통령님과 마지막 이별하는 자리에서 우리 모두는 애석하고 비통한 마음을 가눌 길이 없다"며 "우리는 대통령의 뜻을 되새기면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다짐을 새롭게 할 것"이라고 애도했다.
이어 한명숙 전 총리는 눈물의 조사로 노 전 대통령을 추모했다. 그는 "님은 꿈을 이루기 위해 좌절과 시련을 온몸으로 사랑했고 어려울수록 더욱 힘차게 세상에 도전했으며 꿈을 이룰 때마다 더욱 큰 겸손으로 세상을 만났습니다. 님은 한 순간도 편한 길, 쉬운 길을 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대통령님이 떠난 지금에 와서야 님이 재임했던 5년을 돌아보는 것이 왜 이리도 새삼 행복한 것일까요"라며 말하며 끝내 눈물을 보였다. 또 "다음 세상부터는 부디 대통령 하지 마십시오. '바보 노무현'으로 살지 마십시오"라는 말로 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애도했다.
조사에 이어 불교와 기독교, 천주교, 원불교의 순으로 종교의식이 진행됐으며 노 전 대통령의 생전 영상이 제단 양옆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을 통해 방영됐다.
영결식은 유족과 고위인사 헌화, 국립합창단의 ‘상록수’ 합창, 육‧해‧공군 조총대원들의 조총 발사 의식이 진행된 후 마무리됐다.
영결식 장면은 공중파 TV, 광화문 및 서울광장, 서울역 일대 대형 전광판에서도 생중계됐다.
영결식을 마친 운구 행렬은 오후 1시 서울광장으로 이동, 30분간 노제가 열린다. 이어 노 전 대통령의 유해를 실은 운구행렬은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떠나 서울 경복궁, 수원, 봉하마을의 기나긴 여정을 거칠 예정이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이 헌화할 때 잠시 소란이 있었다. 영정 앞에 선 이 대통령에 대한 시민들의 야유가 있었던 것. 하지만 이내 다시 경건한 분위기 속에 헌화식이 진행됐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