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노사가 오랜 협의 끝에 인재경영 전반에 걸친 인사 혁신 프로그램에 전면 합의했다고 31일밝혔다.
KT 노사는 대표적인 공기업적 잔재로 지적 받아 온 일반직, 연구직, 별정직, 지원직 등의 직종구분과 2~6급의 직급체계를 폐지하고, 개인 성과에 따라 보수등급 체계로 전면 개편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직원들은 직급 대신 급여 수준에 따라 L(leader)-P(Professional)-S(Senior)-J(Junior)- A1(Assisstant1)-A2(Assisstant2)의 등급으로만 구분된다.
아울러 KTF와의 합병에 따라 차장제를 신설하기로 합의하고, 3년간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포인트 승격 방식도 도입하기로 했다.
직원들 배치에 있어서도 본사 중심의 통제 위주 인사관행을 개선해 인력의 수요과 공급을 웹사이트에서 개인과 부서간에 시장 논리에 따라 결정하는 'HR-Marketplace' 방식으로 전환한다.
특히 이번 제도 개선에서 주목할 점은 30년간 유지해 온 호봉제의 전격 폐지다. 호봉제는 한국전기통신공사 발족이래 지속적으로 유지됐는데 성과주의 인사의 가장 큰 장애물로 간주돼 왔다. KT는 호봉제를 폐지하는 대신 개인별 실적에 따라 임금인상에 차등을 두는 성과인상제 방식을 적용키로 했다.
또한 팀웍과 경쟁효과를 동시에 거두기 위해 부서성과급의 차등폭도 150%까지 높였다.
김한석 KT 인재경영실장은 "이번 개편은 연공서열식 인력관리체계를 혁신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며 "이석채 회장이 취임 초부터 강조한 생산성과 효율성 중심의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KT가 직면한 성장정체를 극복하고 주주와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올해 임금은 경제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합병시너지 제고가 필요하다는데 노사가 공감해 동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김영민 기자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