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가 노조의 총파업에 맞서 31일 오전 경기도 평택공장을 직장폐쇄한 가운데 노조원들이 평택공장에 모여 정리해고 반대 등을 주장하고 있다. |
쌍용자동차가 노조 총파업에 대한 맞불 작전으로 '직장폐쇄'라는 초강수 카드를 내밀었다. 이에 노조 측은 파업 강행의지를 확고히 하고 있어 양측간 대립이 극에 치닫고 있다.
쌍용차는 31일 오전 8시30분부터 평택공장에 한해 직장폐쇄 조치를 단행했다.
쌍용차 측은 "노조 파업과 불법적 공장 점거 사태 지속으로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어려워졌다"며 "이번 직장폐쇄 조치는 생산활동 전면 중단에 따른 경영손실로 인해 회사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절박한 판단에 따라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계획된 일정대로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고 조속히 라인운영을 정상화 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쌍용차는 당초 이달 5400대의 차량을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노조 파업 등으로 인해 생산량이 1600여대에 머물렀다. 자금회전이 안 되는 데다 파업마저 계속된다면 경영정상화는 제대로 추진조차 못한 채 파산하게 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사측에서 지난 30일 전화로 '직장 폐쇄를 할 수도 있다'고 알려 온데다 이미 예상했던 절차이기 때문에 놀라울 것이 없다"며 "노조의 정리해고 반대와 파업 의지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노조 측은 이어 "직장폐쇄 결정은 사측이 노조와의 대화에 나설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며 "사측이 공권력 투입이라는 수순으로 간다면 노조도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은 2∼3차례 퇴거를 중알(重謁)한 뒤에도 노조원들이 공장 점거를 지속할 경우 형법상 퇴거불응죄와 업무방해죄를 물어 경찰에 공권력 투입을 요청할 방침이다.
노조가 현재 진행 중인 파업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경찰력을 통한 강제 해산이 불가피해 진 것이다.
강덕중 평택경찰서장은 "사측의 고소 및 고발 건에 대해서는 사법처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노사간 협상의 여지가 있고 평택 공장의 여러가지 위험요소를 감안해 공권력 행사에는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측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업무방해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13차례에 걸쳐 노조원 40여명을 고소·고발했다. 지난 12일에는 불법적 공장점거 사태와 관련, 평택경찰서에 회사 시설물 보호요청을 했다.
한편, 법정관리 절차가 진행 중인 쌍용차는 지난 27일 인사위원회를 통해 당초 경영정상화 방안에서 제시한 2646명 중 희망퇴직 인원을 제외한 1112명을 최종 인력감축 규모로 확정하고, 정리해고 기준과 함께 28일 노조에 공식 통보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