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위원장은 이날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자본시장연구원 주최 녹색금융 콘퍼런스에서 "녹색금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탄소금융(Carbon Finance) 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탄소배출권 시장을 개설해 아시아 최대 탄소금융시장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배출권시장의 설립 방향 및 시기에 대해서는 글로벌 추세와 다른 나라 시장과의 협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 위원장은 "녹색산업에 자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신보와 기보의 보증기능을 강화하겠다"며 "신.기보는 올해 4월까지 녹색성장분야에 1조6천억 원의 보증지원을 했고 이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산업은행의 민영화에 따라 설립예정인 정책금융공사의 녹색산업 금융지원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금융권별로 녹색금융상품의 개발 및 판매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진 위원장은 "은행권은 기업여신 심사시 기업의 환경요인을 평가하는 녹색신용(Green Credit)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은행 경영평가시 녹색기업에 대한 여신실적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녹색산업은 초기단계에서 벤처 특성이 강해 은행의 여신 확대에는 다소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녹색금융에서 자본시장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녹색산업에 투자하는 전용펀드를 활성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