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노조가 3일 사측이 정리해고 시행 예정일인 8일 이후 공권력 투입을 요청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노조의 생존권을 짓밟는 야만적인 행위”라며 개탄했다.
이창근 쌍용차 노조 기획부장은 “노조의 제안에 귀를 막은 채 공권력 투입 선포를 통해 무조건 정리해고를 관철시키겠다는 비정상적인 행위”라며 “이는 회생을 바라는 경영진과 정부가 취할 태도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지난 1일 사측이 대규모 구조조정 방안을 철회할 경우 노조원들이 미지급 인건비를 담보로 한 대출투자 1870억원과 근무형태 변경 759억원, 무급휴직 204억 등 총 2833억원을 줄일 수 있다는 인건비 절감안을 내놓았다.
노조는 자체적인 자구안을 내놓기에 앞서 지난 4월부터 노조 후생복지 기금을 담보로 신차 개발에 1000억원을 투자하고 비정규직 고용안정 기금 12억원 제공한다는 내용의 자구책을 제시한 바 있다.
이창근 노조 기획부장은 "노조의 자구안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에 대해 “현실성이 없다는 것은 사측의 주장일 뿐”이라며 “노조의 현실을 외면한 채 공권력 투입 계획을 세우는 사측은 각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측의 희망퇴직 연장 시행에 관련해서는 “정리해고의 또 다른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는 것”이라며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국진보연대와 민주노동당, 금속노조 등 22개 정당과 사회단체는 쌍용차 사태 해결을 위한 범국민 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범국민 대책위는 “쌍용차에 공권력이 투입될 경우 제2의 용산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정부가 쌍용차 노조와 대화를 시작하고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