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머리 아픈 靑, 검찰 인적쇄신 ‘만지작’

사표 수리, 서거 정국 후반기 정치적 결단
야당 등 외압에 등떠밀리는 쇄신 안돼...숙고모드로

임채진 검찰총장이 재차 사표를 던지자 청와대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4일 청와대는 임 총장의 사표를 바로 수리하는 것은 ‘박연차 게이트’에 대한 검찰 수사가 잘못됐다는 걸 스스로 자인하는 격이라며 수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일단 보류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임 총장은 사표가 수리될 때까지 휴가를 낸 상태며, 사표가 수리되면 그때 검찰에 나와 퇴임식을 가질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사실상 문성우 차장 대행체제에 들어가면서 임 총장의 사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청와대의 고민은 임 총장의 사표 수리시 모양새가 안 좋다는 데 있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야당 및 시민단체들에 의해 전방위 사퇴압박을 받았던 임 총장의 사표를 바로 수리하면 외부 압력에 쫓기는 모습이 연출된다는 지적이다.

당장 정치권 요구에 부응해 청와대가 급격한 변화를 주도하면 이는 서거정국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셈이 되고, 결국 향후 국정 운영의 추동력을 크게 상실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다.

여기에 6·10항쟁 22주년과 6·15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일 등이 노 전 대통령 서거와 맞물려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로 번지게 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인 만큼 지금은 국면전환용 카드를 꺼내들 시점이 아니라는 정치적 계산도 깔려 있다. 쇄신책을 쓰더라도 이를 마지막 카드로 활용해야지 현재 정점으로 향하고 있는 서거정국 초반에 써버린다면 효과가 크게 상쇄된다는 판단이다.

문제는 시기와 방법이다. 청와대는 서거정국의 민심 향배를 예의주시하면서 시의적절한 시기에 이 대통령이 사회 각계의 의견을 최종 수렴해 정치적 결단을 내리는 형식으로 검찰 및 인사쇄신을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현재로선 흔들림 없이 경제살리기에 주력하면서 자연스레 인사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인사가 단행되지 않겠느냐”며 “인사는 이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관 대변인도 최근 “(인적쇄신에 대한) 정치권의 여러 요구에 대한 보고를 잘 듣고 있으며 청와대의 입장은 ‘경청과 숙고 모드’”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사표 반려를 내세우면서도 검찰총장 후임 인선에 조용히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에는 호남 출신인 문 차장과 이귀남 법무부 차관, 권재진 서울고검장, 명동성 법무연수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 임 총장의 사표가 수리되고 나면 수사책임자인 이인규 중수부장의 교체도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