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북권 수변문화도시로 개발

  • 성북·석계역세권 복합 콤플렉스로 개발, 창동·상계지역은 비즈니스타운으로 조성

   
 
중랑물재생센터 친수공간

개발 소외지역이었던 서울 동북권과 구리 남양주 포천 등이 오는 2020년까지 수변문화도시로 개발된다. 또 성북·석계역세권이 업무·상업·문화 복합 콤플렉스로 개발되고 창동·상계지역은 새로운 비즈니스타운으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구 등 동북권 지역을 '신경제·문화 거점도시'로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동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확정하고 9일 발표했다.

사업비는 도로 및 철도 건설 6조975억원 등 총 18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우선 동북권의 대동맥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개발에서 소외됐던 중랑천을 사계절 깨끗한 물이 흐르는 뱃길과 수상레저, 체육, 공원·문화, 생태체험이 어우러진 수변공간으로 개조한다. 이를 위해 현재 마스터플랜을 수립 중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중랑물재생센터 고도정수처리로 중랑천의 수질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 경기도와 협의해 의정부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를 통해 20톤의 물을 추가 공급할 방침이다. 

아울러 한강~군자교까지 총연장 4.9km 구간에 중랑천 물길을 뱃길로 조성, 수변거점을 네트워킹화 한다. 또 군자교 상류에도 수상택시가 다닐 수 있는 뱃길 조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중랑천 개발과 연계해 창동·상계, 성북·석계, 성수·뚝섬이 3대 신경제거점으로 초안산 일대, 이문·휘경·중화, 중랑물재생센터가 3대 신문화거점으로 변모한다.

창동차량기지 일대 창동·상계 지역은 업무·상업 등 대규모 복합개발을 통해 동북지역 신 비즈니스 타운 대표중심지로 육성한다.

또 성북·석계 역세권은 업무·상업·문화 복합 콤플렉스 개발과 대학 벤처공간을 확보하고 신업무 복합 콤플렉스로 조성한다.

교통시설도 확충된다. 시는 청량리 왕십리 등 주요 거점지역을 30분 내로 연결하는 경전철 4개소 35.84km를 개설하는 등 도로 철도사업에 총 6조975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동부간선도로는 단계별로 지하화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설명회에서 "'동북권르네상스 프로젝트'는 민선4기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인 지역균형발전을 가시화시키는 사업"이라며 "서울 외곽지역에 머물렀던 동북부지역을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서울의 핵심지역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단계별로 액션플랜을 수립하고, 시 재정계획에 반영해 실행해 나갈 방침이다. 

   
 
군자선착장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