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0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천37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만9천명(-0.9%) 줄었다.
이는 지난 1999년 3월 -39만명을 기록한 이래 가장 큰 폭이다.
취업자 수 동향은 1월 -10만3천명, 2월 -14만2천명, 3월 -19만2천명을 기록했다가 4월 들어 -18만8천명으로 진정세를 보였으나 한달만인 5월에 다시 감소폭이 확대된 것이다.
실업자는 5월 기준으로 93만8천명으로 전월의 93만3천명보다 5천명 늘었다. 이는 지난 3월 95만명 이래 최대다. 실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18만4천명 증가했다.
연령대별 취업자 수는 15~19세(-3만4천명), 20~29세(-7만8천명), 30~39세(-21만1천명), 40~49세(-3만7천명) 등에서는 감소세였고, 50~59세(3만2천명)은 증가했으며 60세 이상은 작년 동월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만2천명, 4.1%)은 증가한 반면 도소매.음식숙박업(-15만9천명, -2.8%), 제조업(-14만명, -3.5%), 건설업(-12만5천명, -6.6%), 전기.운수.통신.금융업(-5만9천명, -2.1%)에서는 감소했다.
임금근로자는 1천648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7만9천명(0.5%) 증가했지만 비임금근로자는 29만8천명 감소한 723만6천명이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 근로자는 작년 동월에 비해 30만6천명(3.4%) 늘어났지만 임시근로자는 8만9천명(-1.7%), 일용근로자는 13만8천명(-6.2%)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을 보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00만7천명으로 전년 같은달보다 97만4천명(-24.5) 감소한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천45만9천명으로 3.8% 증가했다.
고용률은 59.3%로 작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3.8%로 0.8%포인트 올랐다.
경제활동 인구는 2천465만8천명으로 작년 같은달에 비해 3만4천명(-0.1%) 감소했으며, 경제활동 참가율은 61.6%로 0.8%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 인구는 1천536만9천명으로 52만1천명(3.5%) 증가했다. 활동상태별로 쉬었음(13만9천명, 11.9%), 연로(13만5천명, 9.0%), 가사(12만9천명, 2.4%), 통학(8만2천명, 1.9%), 육아(3만4천명, 2.2%) 등에서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구직단념자는 15만1천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4만4천명(41.6%) 증가했다.
정인숙 통계청 고용통계팀장은 "수출 감소와 내수 부진으로 고용 감소 폭이 줄어들지 않았다"면서 "실업자가 전월 보다 5천명 늘어난 것은 5월에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신청한 사람들이 구직 활동자로 분류되면서 실업자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종합적으로 고용 사정이 아직은 회복할 기미를 나타내지 않고 자영업자나 임시 일용직 근로자 등을 중심으로 고용 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구직 단념자는 증가 폭이 줄고 취업 준비자가 늘어나는 등 고용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등 고용 지표가 혼조세를 띠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