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보너스 규제로 금융시스템 회복

거센 격량이 일었던 글로벌 금융 위기를 완전히 극복하기 위해선 금융시스템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최고경영자(CEO)들이 거액의 보너스를 챙긴 것에 대한 비판 여론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8일(현지시간) 최근 몇 달 동안 여론의 분노로 인해 CEO 보수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요구된다며 특히 CEO 보너스 지급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실현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지난해 가을 글로벌 금융위기의 큰 소용돌이가 세계 경제를 강타하면서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됐다. 영국 BBC뉴스의 비즈니스 편집자인 로버트 페스톤은 "신자본주의는 파편 조각에서부터 실체를 드러낼 것"이라고 밝혀 여론에 의해 금융시스템이 바뀔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일부 대형 금융사들이 재정난으로 몰락했음에도 거대한 양의 보너스를 CEO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CEO 보너스 지급에 대한 여론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고 FT는 설명했다.

특히 최근 영국에서 이런 비판 여론의 움직임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 윤활유 전문업체 로열더치셸의 주주들은 CEO에 대한 보수 지급 계획을 거부했다. 또 광산업체 엑스트라타, 석유회사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에너지 개발회사 에이멕(AMEC) 등 주요 기업들의 주주들도 보수 지급안에 강력한 반대의사를 표시하기도 했다.

컨설팅업체 왓슨와이어트의 보상관련 컨설팅 부문 글로벌 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라 케이는 "주요 금융사 CEO들은 분명히 지난해 경기 침체와 주가 급락에 따른 손실로 인한 재정 적자를 면치 못했다"며 "보수 지급안은 현재 위기에 직면한 경제 현실에 따라 재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EO 보수의 변화가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신호탄으로 작용하느냐 아니면 현재 침체된 경기와는 다르게 비교적 부드럽고 지속적인 상승세에서 파생된 것이냐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회의론자들은 CEO 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인터넷 업체들이 혹독한 적자에 빠졌던 닷컴 버블 붕괴 이후 2001년과 2002년 사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를 구성하는 500대 기업 CEO들의 평균 보너스는 10% 가까이 떨어졌다. 하지만 CEO 보너스는 2002년 약 700만 달러를 기점으로 그후 유지되다가 점차 증가세로 돌아서 최근 몇년간 급증했다.

케이는 "CEO 보수는 주식 시장과 매우 상관있다"며 "주식 시장이 회복되기까지는 수익성 개선을 통해 보너스 지급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FT는 CEO 보수에 대한 엄격한 규제에 대한 요구가 증폭되는 가운데 단순히 경기흐름에 따른 보너스 조정을 넘어 실질적 예방책을 세울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부문의 수익성 회복이 몇 년이 걸릴 수 있는 만큼 실질적 대안 창출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피터 몬태논 영국보험자협회(ABI) 투자 담당이사는 "단순히 시계 태엽을 되감듯 시간을 다시 돌려 놓을 수는 없다"며 "경제 위기 악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어 짐에 따라 더이상 어제 인정된 것이 내일도 인정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주요 금융사들의 몰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명백히 지켜봤다"며 "금융시스템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복원하지 않는 한 향후 경기회복이나 성공적인 보상을 기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CEO 보너스 지급에 대해 비판 여론은 단지 기업 주주들의 CEO 보수 지급안에 대한 반대로 표출되기도 하지만 여론은 붕괴된 기업의 명성 유지를 위해 CEO 보너스 지급을 지지하기도 한다고 FT는 전했다.

실제로 과거 기업들은 상당히 부정적인 여론에도 불구하고 CEO 보수를 증가시켜 왔다. 신용 경색이 강화되기 전인 2007년 7월 FT가 여론조사기관인 해리스와 공동으로 영국·독일·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임원 보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80%가 고위 간부들의 보수가 상당히 많다고 답했다. 영국인들 중 60%는 정부가 CEO들에게 최고 수준의 보너스를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론은 단지 공개된 CEO 보너스에 대해 분노를 표출할 수 있을 뿐이다. 이에 공공기업들이 이사회에서 결정된 CEO 보수를 공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언론은 금융시스템의 엄격한 규제의 잠재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이같은 규제에 대한 요구 증가로 영국에서는 금융기업 주주들의 권리 향상에 대한 주문이 늘어나고 있다. 또 미국의 경우,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은 단기 리스크 모면을 위해 금융기업의 보너스는 강화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 몇 달간 금융기업 CEO들의 능력 결핍에 대한 여론의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비판이 기업 주주들에 의해 주도된다면 CEO 보너스에 대한 지속적인 증가는 곧 사그라들 것이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