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 분기 이상에 걸쳐 노동생산성이 감소한 것은 2001년 1∼3분기의 연속 감소세 이후 처음이다.
19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내놓은 '2009년 1.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 동향'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노동생산성 지수는 112.6으로, 작년 1분기에 비해 8.7% 낮아졌다.
노동생산성 지수는 산출량 지수를 노동투입량 지수로 나눈 값으로, 현재의 지수는 2005년을 기준(=100)으로 산출된다.
노동생산성이 이같이 떨어진 이유는 불황으로 노동투입량(근로자수×근로시간)도 8.3% 감소했지만 산출량 감소폭이 16.3%로 노동투입량 감소폭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산업생산은 정부소비와 건설투자가 각각 7.3%, 1.6% 늘었지만 설비투자가 23.5% 급감한 것을 비롯, 민간소비(-4.4%), 수출(-14.1%)이 크게 위축되면서 감소율이 노동투입량 감소율의 두 배에 가까웠다.
부문별로 비교해보면 정보기술(IT) 부문의 노동생산성이 9.7% 감소해 비(非)IT부문 감소율(7.2%)보다 컸고 대기업의 감소율(10.6%)이 중소기업(9.0%)보다 높게 나타났다.
노동생산성이 떨어진 반면, 시간당 명목 임금은 4.4% 상승하면서 시간당 명목 임금을 노동생산성으로 나눈 1분기 제조업 단위노동비용 지수는 105.3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4.4% 높아졌다.
기업의 감산으로 초과급여와 특별급여가 줄면서 근로자들의 명목 임금이 2.4% 감소했음에도 시간당 명목 임금이 상승한 이유는 근로시간 감소율(6.5%)이 명목 임금 감소율을 압도한 결과다.
실물경기가 극도로 부진하면서 근로자들이 실제 받는 임금은 줄었음에도 기업들의 생산을 위한 단위비용은 오히려 증가한 것이다.
지경부는 "1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산업생산이 큰 폭으로 줄면서 근로자수,근로시간,임금 등 직,간접적인 노동투입지표가 동시에 감소해 지난해 4분기 11.5%에 달했던 노동생산성 추가 하락세가 완화됐다"고 진단했다.
<표> 제조업 노동생산성 추이
2006 | 2007 | 2008 | 2009 1/4 |
||||
1/4 | 2/4 | 3/4 | 4/4 | ||||
노동 생산성 |
111.5 (11.5) |
118.6 (6.4) |
123.3 (9.2) |
126.1 (8.9) |
121.5 (1.1) |
110.8 (-1.5) |
112.6 (-8.7) |
산출량 |
108.6 (8.6) |
116.2 (7.0) |
121.2 (11.0) |
126.1 (9.2) |
119.5 (5.5) |
111.6 (-12.0) |
101.5 (-16.3) |
노동 투입량 |
97.4 (-2.6) |
98.0 (0.6) |
98.2 (1.6) |
100.0 (0.3) |
98.4 (4.4) |
100.7 (-0.5 |
90.1 (-8.3) |
-근로자 수 |
100.6 (0.6) |
101.8 (1.2) |
100.8 (-0.8) |
101.2 (-0.6) |
101.9 (0.2) |
102.0 (0.0) |
98.9 (-1.9) |
-근로 시간 |
96.9 (-3.1) |
96.2 (-0.6) |
97.5 (2.4) |
98.8 (0.8) |
96.5 (4.2) |
98.7 (-0.5) |
91.1 (-6.5) |
* 노동생산성지수 : 산출량지수/노동투입량지수
* 산출량지수 : 제조업 산업생산지수(통계청자료)
* 노동투입량지수 : 근로자수×근로시간(노동부자료)을 지수화
* ( )는 전년 또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각 지수는 2005=100.0을 기준으로 함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