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마크 어떤 효과 가져오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7-03 10: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OO전자회사에 근무하는 안씨는 아침부터 골치가 아프다. 신제품 출시를 코앞에 뒀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출시에 필요한 인증을 받으려면 아직도 까마득한 것. 이제 겨우 전기용품안전인증마크를 받았는데 앞으로 전자파안전인증마크를 받아야 하고 또 에너지효율품질인증마크도 받아야 한다. 전자파 인증을 받으려고 한 달 전에 신청했는데 대기 중인 제품이 많아서 3주 이상 기다려야 한단다. 아무래도 출근하자마자 인증기관 담당자와 한바탕 씨름을 해야 할 모양이다. 어제 하루 인증 마크 받으러 여기저기 돌아다니는데 쓴 비용은 누구한테 청구해야 할 지 막막하다.

# 서울 사는 주부 유씨는 10년 된 냉장고를 바꾸기 위해 OO마트로 들어선다. 판매원이 이 제품, 저 제품을 비교해가며 설명해주는데 냉장고에 붙어 있는 종이 딱지가 한 두 개가 아니다. 왜 이런 걸 냉장고에 많이 붙여놨지? 하나하나 설명해주는 판매원의 입이 밉다. 들어도 뭔지 잘 모르겠다.

전자제품의 'K', 승용차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가스제품의 '검', 정수기의 ‘물’ 마크 등 소비자들이 헷갈려 하던 법정 강제인증 13종이 1일부터 'KC(Korea Certification)마크'로 통합됐다. 정부는 이와 함께 기존 20개 유형의 법정 강제인증심사절차도 9개 유형으로 대폭 간소화 했다.

소비자와 기업은 모두 환영하는 모습이다. 기업은 인증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게 됐다.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돼 소비자 입장에서도 좋다. 각종 국가표준인증마크의 뜻을 몰라 혼란스러웠던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신뢰감도 커지게 됐다.

정부가 이처럼 국가표준인증마크를 단일화하고 인증통합작업을 한 것은 현행 표준정책으론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표준전쟁에 제대로 대응 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일찍이 유럽연합(EU), 일본, 중국은 각각 CE마크(1993년), PS마크(2003년), CCC마크(2002년) 등을 국가통합인증마크로 도입, 글로벌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이들 국가는 자국의 국가표준을 국제표준으로 채택시키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이들 인증 브랜드는 앞으로 해당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증' 역할을 한다. 그간 국내 수출기업은 관련 비용으로만 연간 2조원 가량을 지출해 왔던 것으로 정부는 추정했다.

앞으로 KC마크 도입이 미칠 영향은 크다. 전문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국가통합인증마크 제도의 도입은 인증 심사절차의 간소화 및 중복인증 해소 등을 통해 기업의 인증 비용은 평균 66% 절감이 가능하고 인증 소요기간은 27%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KC마크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인증브랜드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