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공공연구기관과 대학들이 기술을 이전해 준 대가로 작년 한 해 동안 약 1300억 원의 수입을 올렸다.
6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대학을 포함해 전국 260개 공공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관이 지난해 벌어들인 기술료 수입은 전년보다 23.4% 증가한 1288억원으로 집계됐다.
2003년 연간 391억원에 불과했던 연구기관들의 기술료 수입은 2007년 1천44억원으로 처음 1000억원을 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외부로 이전한 기술 건수는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3212건에 그쳐 지난해보다 7.6%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화학연구소가 27억원을 들여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을 미국 길리어드사가 사가는 대형 계약이 이뤄졌다.
길리어드는 이 계약에 따라 초기 기술료 100만 달러와 실적 실시료 750만 달러 외에 특허존속기간인 2028년까지 매출액의 일정비율로 경상기술료를 지급하게 된다.
이로써 연간 기술료 수입이 10억원 이상인 기관은 2007년 13개에서 지난해 18개로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의 기술이전 사업화 평가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1위에 올랐고, 이어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순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기술이전 사업화 평가는 자원과 영역, 전략과 실행, 성과 등 3대 분야 9개 핵심 평가지표와 30개 기초 지표를 토대로 이뤄진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