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운태 의원은 되고 정동영 복당은 안되고

대통합 강조 민주당 계파 갈등 조짐


민주당이 6일 무소속 강운태 의원(광주 남구)의 복당을 인준하면서 무소속 정동영 의원 등의 복당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민주당이 이날 강 의원을 받아들인 것도 정세균 대표가 강조한 민주세력 대통합의 연장선상이라 정 의원 복당을 놓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이날 강 의원이 탈당과 입당을 반복한 전례를 놓고 일부에서 문제를 제기했으나 민주세력 대통합 차원에서 복당시키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정 의원 복당의 경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정세균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가 지난 4.29 재보궐 선거에서 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 당선된 정 의원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 대표는 이날 정 의원의 복당에 대해 “지금은 때가 아니다. 때가 되면 논의를 하겠다”고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앞서 민주당 지도부는 “기득권을 포기하고 문호 개방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당 외곽 친노(親盧)그룹에 대한 적극적 포용 제스처를 취했다.

하지만 무소속 정 의원 복당 문제에는 선을 그으면서 불만을 품은 당내 비주류와 호남권 인사들을 중심으로 계파 간 갈등이 예상된다.

또 이러한 기류는 벌써 가시화 되고 있다.

민주당 내 한 비주류 의원은 “세력통합을 얘기하면서 특정인을 배제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 모순”이라며 “더욱이 친노 복당도 당내 분란 소지가 전혀 없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런 식의 논리는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과 가까운 최규식 의원도 “감동을 주는 통합이 되려면 원칙이 일관돼야지,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는 식으론 국민 입장에서 납득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 지도부의 친노·영남권 끌어안기는 자칫 호남 배격론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호남권 한 의원은 “정 의원 복당이 계속 지연되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호남권 동요가 현실화되면서 결과적으로 당에 마이너스가 당에 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현재 호남지역 무소속 국회의원은 정동영, 신건, 유성엽 등 3명으로, 이들은 아직 당에 복당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상태다.

신 의원의 경우 지난 재보선에서 정 의원과 무소속 연대를 맺어 당선, 지도부의 눈총을 받고 있다. 또 유 의원은 지역위원장 문제로 민주당과 이견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 복당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주경제=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