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성향 시민단체는 이들 인사가 예전 후보군보다 정치성 논란이 크지 않은 반면 인권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한 게 아니냐고 지적했고, 보수 시민단체는 지켜보자는 반응을 나타냈다.
11일 정부와 시민단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청와대 인사 검증이 시작된 4명은 김 고법원장과 조병윤 명지대 교수, 권형준 한양대 교수, 제성호 외교통상부 인권대사다.
뉴라이트전국연합 출신의 제 대사를 제외하면 현 정부를 지지하는 대외 활동을 거의 한 적이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서울 출신의 제 대사는 서울법대를 나와 중앙대 교수를 지내면서 활발한 대외 활동을 했다.
김 고법원장은 전남 강진 출신으로 서울법대를 졸업한 뒤 거의 호남지역에서 판사 생활을 했고 조 교수는 강원 강릉 출신으로 서울법대를 나와 국민의 정부이던 2001년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정책자문하는 21세기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서울 태생의 권 교수는 서울법대를 나와 참여정부 시절인 2004년 대통령 직속 정보공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지금도 행정안전부 정보공개위원장이다.
이들이 거론되자 '인권 전문성'을 강조해온 진보 단체는 실망스럽다는 견해다.
배여진 인권단체연석회의 활동가는 "정치적 논란을 불러올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인권운동과 관련해 인지도가 거의 없다. 외부 비판을 잠재우려 일부러 꺼낸 '카드'가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반면 '좌편향된 인권위 개혁'을 요구하는 보수 진영은 전반적으로 무난하며 검증 작업을 지켜보겠다는 반응이 많았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수경 정책실장은 "북한 주민과 경찰의 인권을 외면한 인권위의 과거 행적은 누가 위원장이 되더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 보편타당한 인권의 가치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진강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신혜수 이화여대 교수, 김진홍 뉴라이트전국연합 상임고문, 서경석 기독교사회책임 대표 등도 여전히 후보군을 형성하고 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