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업계, 과열경쟁 자제 '몸사리기'

  • 방통위 현장점검 등 후속 조치에 보조금 정책 조정 등 긴급 조치

올 상반기 과열됐던 이동통신 시장이 업계의 자정 노력과 정부의 단속 여파로 당분간 안정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KT·SK텔레콤·LG텔레콤 등 이통 3사는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현장 점검 및 차별적 보조금 규제 등 후속조치를 발표한 이후 신규 및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보조금 규모를 조정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아직까지 이통시장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방통위의 후속조치 여파로 이통사들이 몸 사리기에 나서면서 과열 경쟁이 수그러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일 이통사 CEO들이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과열 경쟁을 자제하겠다는 약속을 하면서 시장 안정화를 기대했으나 방통위의 후속조치 발표 전까지는 번호이동 가입자수가 지난달 수준을 유지했었다.

KT와 SK텔레콤이 이달 초 번호이동 가입자 확보에 속도를 내자 LG텔레콤도 보조금을 확대하며 대응에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8일 방통위가 사업자들의 경쟁 자제 약속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달 중 이통사 본사 및 일선 유통망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하자 이통사들은 이달 보조금 지급 정책을 수정하고 휴대폰 유통 대리점 수수료를 조정하는 등 긴급 조치를 취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방통위가 자발적으로 마케팅 경쟁을 자제하겠다는 이통사 CEO들의 구두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자 강력한 단속 의지를 보이며 시장 안정화를 유도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이통사들이 마케팅 전략을 급선회하면서 앞으로 보조금 축소로 시장의 열기가 점차 식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또 이번 후속조치에서 이통사들의 보조금이 신규 및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집중돼 장기 가입자 등 전체가입자에게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지 않는다고 판단, '차별적 보조금 지급'에 대한 규제를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키로 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이통사들의 과도한 마케팅 경쟁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다.

방통위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2~3개월 내에 마련해 시행할 예정이어서 오는 10월부터는 신규 및 번호이동과 기기변경의 보조금이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장기 가입자의 기기변경 보조금을 번호이동 수준으로 늘릴 경우 기존 가입자들이 굳이 번호이동을 해서 휴대폰을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번호이동이 줄어 시장 과열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통사들의 보조금 축소에 따라 올 상반기에 쏟아졌던 공짜폰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휴대폰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단속 여파로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보조금이 축소됐고 앞으로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일부 재고폰이나 전략폰을 제외하고 공짜폰이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영민 기자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