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사업의 최종 마스터플랜에 기초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전망치가 새롭게 제시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강북권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가 10조4800억원, 취업유발효과가 9만7600명으로 가장 크다.
이어 경남권이 생산유발 9조원, 취업유발 8만2700명 규모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경북권과 경남권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가장 큰 이유는 낙동강살리기사업의 사업비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수도권은 생산유발 6조7200억원, 취업유발 6만3500명의 파급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수도권 지역의 산업집중도가 높아 간접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라권은 생산유발 6조700억원, 취업유발 5만4400명, 충청권은 생산유발 5조2600억원, 취업유발 4만9400명 규모의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선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 공사비 규모가 큰 지역과 제조업 등 건설업과 연관성이 높은 산업이 발달한 지역일수록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js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