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년보다 무더운 여름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상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절전 노력에 10대 주요 대기업이 나선다.
지식경제부는 13일 김정관 에너지자원실장 주재로 삼성, 현대차, SK, LG, 포스코 등 10대 주요 대기업과 철강, 석유화학, 조선 등 12개 전력다소비 업종별 협회가 참석한 가운데 여름철 전력소비절약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은 앞으로 건물의 적정 냉방온도인 26℃를 유지할 방침이다. 엘리베이터는 격층으로 운행하고 저층운행을 제한하게 된다. 또 주간엔 불필요한 조명사용을 억제하고 고효율전력기기를 사용하는 등 자체적으로 전기소비를 절약키로 했다.
아울러 이들 기업은 정부와의 합의를 통해 의무적으로 에너지절감목표를 수립할 방침이다. 이행실적이 검증되면 정부로부터 인센티브를 얻게 된다.
냉방전력은 여름철 전력수요 중 20%를 차지하는 냉방전력의 평균온도를 1℃만 높여도 발전소 건설회피 효과는 연간 1209억원, 연료비용 절감효과는 연간 366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가 전력생산을 위한 연료수입비용에만 연간 19조원을 지출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이 국가 전체의 35%를 차지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수준의 전기요금을 유지함에 따라 일본 등 선진국보다 1일당 전력사용량이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연료수입비용을 줄이고 기후변화 협약에 대응키 위해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산업계가 합리적인 전력소비에 적극 협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