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의 81%는 비정규직 재취업을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비정규직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81.4%가 재취업 시 비정규직으로 입사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같이 답한 이유로는 낮은 고용안정성(28.9%), 차별대우(21.4%), 낮은 정규직 전환기회(14.6%), 낮은 급여(11.2%), 자격지심(8.2%) 등을 꼽았다.
하지만 취업이 급한 구직자 432명에게 같은 질문을 한 결과, 응답자 40.7%가 비정규직이라고 입사하겠다고 답했다.
이들은 그 이유로 ‘정규직 입사가 어려워서’(42.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일단 취업이 급해서’(21.0%), ‘경제적으로 어려워서’(10.2%) 등을 꼽았다.
하지만 비정규 직장인이나 구직자 모두 비정규직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129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83.1%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계약만료 직전 해고 빈번할 것 같다’(35.0%), ‘비정규직이 늘 것 같다’(24.7%), ‘해고 관련 구제 대한 없다’(15.7%) 등이 그 이유였다.
반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정규직 전환기회가 생겨서’(37.9%), ‘책임감 있게 근무할 것 같아서’(13.2%), ‘양극화 줄 것 같아서’(12.8%)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한편 지난 1일 비정규직자의 권익을 보호키 위한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 후, 고용불안감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하 비정규 직장인 중 60.9%가 ‘적용 이후 고용불안이 더 늘었다’고 답했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계약종료일이 가까울 수록 더 컸다.
불안감이 커짐에 따라 많은 응답자들은 근무 중 이직준비를 하거나(78.9%, 복수응답) 업무 집중력이 떨어지고, 애사심이 줄어든 것(각각 49.1%)으로 나타났다.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