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소매업체인 미국 월마트가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환경 영향성을 평가해 인증마크를 부착하기로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월마트 매장 제품의 생산과정과 디자인 및 포장이 새로워지는 만큼 납품업자와 소비자들의 비용 부담은 늘어나게 될 전망이다.
월마트는 그러나 환경인증제도는 에너지 소비와 폐기물 방출을 줄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 공급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수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월마트는 이 제도가 정착되는 데 적어도 5년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월마트는 우선 모든 납품업체들을 상대로 제품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물의 양 등 12가지 항목에 대한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이어 등급 기준을 만들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제품별 등급을 매기게 된다.
월마트의 환경인증제도 시행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 건 10만여 곳에 달하는 납품업체들이다. 이들은 최대 고객인 월마트의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할 전망이다. 앞서 녹색 운동에 뛰어 들었던 아웃도어의류 제조업체 파타고니아는 기존 제품을 친환경 제품으로 탈바꿈하는 데 상당한 비용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월마트는 아직 추가 비용을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반응이지만 이번 조치에 예외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환경인증마크 자체의 실효성을 의심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인증마크를 붙인다고 환경에 대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환경인증제도를 옹호하는 이들도 무분별한 환경인증은 결국 에코버블(eco-bubble)을 불러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렌 사우어스 프록터앤드갬블(P&G) 부사장은 "환경인증이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는 게 중요하다"며 "유럽에서도 비슷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제도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