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들이 돈을 벌어 빚을 갚는 능력이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경기 침체로 매출이 줄고 자금 사정이 나빠지면서 현금수입은 줄어든 반면 단기 차입금은 늘렸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08년 제조업 현금흐름분석'에 따르면 자산 70억 원 이상 제조업체 6천60개의 현금흐름보상비율은 51.4%로 2007년(85.0%)에 비해 33.6%포인트 하락했다.
현금흐름보상비율은 단기차입금의 상환 능력 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는 2000년 49.2%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았다. 대기업이 73.3%로 55.4%포인트 하락했으며 중소기업은 22.3%로 8.3%포인트 하락했다.
이자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역시 597.9%로 2007년(900.4%)보다 302.5%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이 437.9%포인트, 중소기업이 86.1%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이 수치가 100%를 밑도는 업체의 비중은 2007년보다 1.2%포인트 늘어 32.1%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 3개 가운데 1개꼴로 영업활동 현금수입으로 이자조차 충당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의 현금흐름보상비율과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이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그만큼 영업 부문의 침체가 깊고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수입은 업체당 평균 96억4천만 원이었다. 이는 2007년 현금수입 118억9천만 원보다 22억5천만 원(18.9%) 감소한 수치다.
대기업이 1천120억5천만 원에서 894억1천만 원으로 20.2%, 중소기업은 17억3천만 원에서 15억5천만 원으로 10.5% 줄었다.
투자를 위한 현금지출은 131억8천만 원으로 2007년(132억8천만 원)에 비해 0.8% 감소했다.
지출 감소폭보다 수입 감소폭이 더 커 대기업의 경우 현금부족액이 146억1천만 원으로 1998년 143억3천만 원 이후 가장 많았다.
기업들은 이 같은 현금부족을 메우려고 외부에서 빚을 끌어오면서 재무활동에 의한 현금조달은 53억6천만 원 순유입을 기록해 2007년(23억5천만 원)에 비해 순유입액이 크게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현금조달 수단 가운데 차입금이 32억3천만 원에서 67억 원으로 두 배 넘게 증가한 영향이 컸다"며 "경제불확실성 탓에 기업들이 현금을 빌려 와 쌓아두려는 경향을 보여 현금보유액은 18억3천만 원 증가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