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지역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조속한 6자회담 복귀를 촉구했다.
23일 태국 푸껫 쉐라톤 호텔에서 열린 제16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또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6자회담에 조속히 복귀할 것을 북한에 촉구하고 비가역적인 비핵화를 전제로 한 '포괄적 패키지'를 제안했다.
전날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와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서도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6자회담 합의사항을 준수할 것과 6자회담에 조속히 복귀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의장성명이 채택됐다.
이번 외교장관회의에서 주목할 점은 2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 의지를 재확인한 데 있다. 아울러 비가역적 비핵화를 전제로 '포괄적 패키지'를 강조한 미국과 이에 반발하는 북한 사이에 전개된 치열한 신경전도 뜨거웠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전날 가진 기자회견에서 '포괄적 패키지'의 내용에 대해 "북한이 완전하고 비가역적인 비핵화에 동의하면 북·미 관계 정상화를 논의할 용의가 있다"면서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이전과는 새로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북한 대표팀 단장인 박근광 전 나미비아 대사는 이날 ARF 오전회의에서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는 원해서가 아니라 미국의 핵위협 때문"이라며 미국의 적대시 정책을 맹비난하고 "북한의 핵보유는 전적으로 평화유지용 억지력"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오전회의가 끝난 뒤 북한 대표단의 리흥식 외무성 국제기구담당국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포괄적 패키지는 말도 안 된다"며 "현재의 위기는 미국의 적대정책이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북한을 제외한 5자협의에 대해 "우리와 상관없는 일"이라며 "6자회담은 이미 종말을 고했다"고 말해 향후 국면 전환 이후에도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ARF 회의 이후 다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의에서 북한이 미국을 비난한 것은 유감"라며 "북한의 태도변화가 없으면 단호한 제재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북·미간 대결에 가세했다. 유 장관은 ARF 회의에서 "국제사회의 만류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6자회담 불참을 선언하고 비핵화 합의를 파기하며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을 강행했다"며 "이는 6자간 합의와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6자회담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유용한 틀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으며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북한이 복귀할 수 있도록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며 "북한은 도발을 중단하고 조속히 6자회담에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지 외교소식통은 "북한의 조속한 6자회담 복귀와 도발 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내용은 물론 북한이 주장한 내용이 함께 의장성명에 담길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를 놓고 치열한 신경전이 거듭되고 있다"고 전했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