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이 늘어나고 민간소비가 살아나며 올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9년 2분기 실질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분기 실질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2.3% 증가했다. 이는 2003년 4분기 2.6% 이후 5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대비로는 -2.5% 성장하며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했다.
전기에 비해 성장률이 오른 것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이 늘고 민간 소비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로 제조업은 전기전자, 석유화학 등의 생산 호조로 전기 대비 8.2%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이 큰 폭으로 오르며 1.0% 상승했다.
지출 측면에서도 재화수출이 큰 폭 증가를 나타내고, 민간소비 증가세도 대폭 확대됐다.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에 대한 소비지출이 늘며 전기대비 3.3% 증가했다. 이는 2002년 1분기의 3.4% 이후 최고치이다.
설비투자는 지난해 4분기 이후 큰 폭 감소에 대한 기저효과로 8.4% 급증했다. 이는 2000년 1분기의 17.8% 이후 최고 수준이다.
수출은 전기전자,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14.7% 증가하면서 2003년 4분기의 14.9%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고 수입도 7.3% 늘었다.
한편 실질국내총소득(GDI)은 전기 대비 5.1% 늘어나 88년 1분기의 5.7%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는 GDP가 오른 데다 원자재가격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