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와 포스코가 손을 잡고 청정석탄에너지 개발을 통한 세계시장 공략에 나선다.
24일 지식경제부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이들 양사가 '청정석탄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주체간 지속적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지경부가 지난 7일 올해 추경예산 편성을 통해 신성장동력 스마트프로젝트인 청정석탄에너지사업자로 두 회사를 선정하고 정부자원 250억원을 지원키로 한 데 따른 것이다.
SK에너지는 전처리공정인 석탄가스화기를 개발하고 포스코는 합성천연가스(SNG) 공정을 개발하게 된다. 전처리공정과 후처리 공정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개발시기가 3년 정도 단축될 전망이다.
양사는 또 초기 원천기술을 도입하고 주변 및 응용기술개발에 집중하는 한편 국내 연구소 및 대학 등 연구계가 축적한 기술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오는 2013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기술개발을 완료한 뒤 전남 광양에 상용플랜트 공장을 준공한다. 이곳에선 매년 50만t의 합성천연가스를 생산하게 된다.
SK에너지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5500억원을 투자해 대덕연구단지에 연구설비를 구축하고 울산공단에 메탄올 등 화학제품 생산공장을 준공해 매년 20만t을 생산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석탄액화(석유) 공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자해 해외 현지 저급탄 광산부근에 준공할 계획이다. 매년 석유 630만 배럴이 생산되며 이는 지난해 국내 수용연료의 2.5%를 대체하는 규모다.
석유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SK에너지와 포스코는 그간 고유가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석탄을 석유와 화학제품원료, 합성천연가스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을 위해 힘써왔다. 다만 고난이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이 전환기술은 현재 국내엔 없다.
청정석탄에너지기술 개발에는 양사를 비롯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포스코건설, 한국화학연구원, 서울대학교 등 19개 참여기관이 공동기술개발에 나선다.
이윤호 지경부 장관은 “청정석탄에너지는 친환경화와 상용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기술혁신을 이루지 못한다면 어느 나라에서도 환영받지 못할 것”임을 강조하고 “기업간 협력을 통해 반드시 기술혁신을 추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