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저축銀, 소상공인 지원 꺼려…정책취지 '무색'

지역 신용보증재단이 지원하는 소상공인 대출 협약에 대형 저축은행들이 가입을 꺼리고 있어 정책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28일 저축은행권에 따르면 지역 신보의 보증 여신을 취급하는 65개 저축은행 중 업계 자산규모 1위인 솔로몬저축은행과 2위 부산저축은행, 5위 HK저축은행은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상공인에 대해 추가 대출을 실시하기에는 리스크 관리 및 수익성 관리 차원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가입을 꺼리는 이유다.

일부 저축은행들은 이미 보건복지가족부가 시행 중인 저소득층 재산담보부 대출을 취급하고 있어 추가로 협약에 가입할 여력이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

솔로몬저축은행 관계자는 "서민금융기관인 신협이나 새마을금고와 비교하면 저축은행들의 가중평균이자율과 조달금리가 높은 편이라 수익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다양한 지원사업에 형식적으로 참여하는 것보다 하나의 사업에 주력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 신보가 보증 비율을 85%로 제한한 것도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채무자가 도산할 경우 나머지 15%에 대해서는 채권자인 저축은행이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형 저축은행들이 저신용층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하는 것은 서민금융지원을 강조하는 정부의 정책 취지에 걸맞지 않은 행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이율이 40%대에 이르는 개인 신용대출과 최저 금리가 7%대에 불과한 보증 대출을 함께 취급하는 것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대형 저축은행들이 서민금융지원을 꺼리는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신보의 서민 지원협약에 가입했다가 임의로 탈퇴하더라도 아무런 제재 조치가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소상공인 대출 협약 가입을 독려하면서도 실제 가입 여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모습을 보였다"며 "탈퇴해도 제재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이 형식적으로 가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소상공인 대출 협약이 시행된 지 한 달 밖에 되지 않아 좀 더 지켜 볼 필요가 있다"며 "협약 가입 여부가 권고 사항인 것은 맞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