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당초 3분기 성장률을 2분기 대비 1%로 예상했지만 만만치 않다"며 "7~8월 실적을 지켜봐야겠지만 1%보다 밑으로 꺾이지 않을까 예상된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2분기 실적이 당초 전망치 1.7%보다 0.6%포인트나 높게 나오는 바람에 2003년 4분기 이후 5년6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했지만 3분기에는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2분기까지는 정부가 확장적 재정지출과 통화팽창, 노후차 세제지원이라는 정책을 동원해 경기 급락을 막는 데 큰 효과를 봤지만, 하반기에는 경기부양을 지속할 만한 정책 수단이 부족하다는 것이 정부의 큰 고민이다.
한국은행은 상반기 재정지출과 노후차 세제혜택의 성장률 기여도를 각각 1.9%포인트, 0.8%포인트로 추정했지만 하반기 재정지출 여력은 연간 대비 35%밖에 남아있지 않아 '실탄'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하반기 경제성장률의 흐름을 결정할 최대 변수가 민간 부문이라고 보고 소비 촉진 및 투자 활성화에 총력전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미 발표한 대로 하반기에도 확장적 재정.금융 정책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녹색성장 등 신성장동력 산업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고 연구.개발(R&D)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세제지원책을 통해 투자를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부품.소재 분야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중소기업 생산성 혁신대책'과 함께 소비 진작을 위한 내수활성화 대책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는 2분기 이후 소비와 투자가 미약하게나마 회복되는 등 민간 부문에서 호전의 기미를 보이는 것에 대해 기대감을 갖고 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