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제비중 국내 절반 육박


수도권의 경제비중이 국내 전체의 절반 수준을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통계청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기준연도를 2000년에서 2005년으로 변경해 2007년 경제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수도권의 경제규모는 478조원으로 전국 대비 비중이 48.6%에 달했다고 밝혔다.

2000년 한국 경제에서 수도권의 비중은 48.5%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7년새 0.1% 포인트 늘어난 셈이다.

반면 경기를 제외한 나머지 8개 도의 경제규모는 328조원으로 한국 경제의 33.4%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특히 2007년 GRDP 규모는 서울이 237조원으로 전체의 24.1%를 차지하면서 가장 컸으며 경기 194조원(19.7%), 경남 69조원(7.0%), 경북 64조원(6.5%), 충남 55조원(5.6%), 부산 53조원(5.4%), 울산.인천 48조원(4.9%), 전남 47조원(4.8%) 순이었다.

제주는 9조원으로 전체의 0.9%를 차지하는데 그치며 GRDP 규모가 최하위였으며 광주(21조원,2.2%), 대전(22조원,2,3%), 강원(26조원,2.6%), 전북(29조원,2.9%), 충북(30조원,3.1%), 대구(32조원,3.3%)도 좋지 않았다.

한편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지역별 연평균 성장률은 충남(9.7%), 경기(8.3%), 경북(7.2%), 인천(5.6%), 경남(5.2%), 광주.제주.충북(4.8%), 부산(4.6%), 대전.울산(4.4%), 강원(4.3%), 전북(3.8%), 서울(3.6%), 전남(3.5%), 대구(2.9%) 순이었다.

서울, 전남, 대구는 연평균 성장률이 최하위권이었지만 같은 기간의 선진국과 비교하면 미국의 낮은 성장 지역인 미주리(1.1%), 오하이오(0.6%)보다 높았으며 일본의 높은 성장 지역인 미에현(3.9%), 아이치현(3.0%)과 비슷했다.

우리나라의 지역 성장률 편차는 2006년까지 미국과 일본보다 높았으나 2007년에는 1.5를 기록해 미국의 1.7에 근접했다.

이밖에 1인당 지역 내 총생산은 산업단지가 많은 울산(4450만원), 충남(2848만원), 전남(2602만원)이 대체로 높고 대구(1306만원), 광주(1472만원), 대전(1492만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서울(1431만원), 경기(1132만원), 울산(1124만원) 등 시 지역이 큰 반면 전남(863만원), 경북(936만원) 등 지역은 적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