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1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와 청와대에서 정례회동을 가질 예정인 가운데 박 대표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표가 이 자리에서 10월 재보선 출마 결심을 밝힐 것으로 보여 이 대통령의 수락여부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이 대통령과 박 대표의 회동은 정례적으로 있어왔던 일”이라며 “정치문제보단 민생현안과 국정운영방안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대화가 오갈 것”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관심은 뜨거운 감자인 박 대표의 경남 양산 재보선 출마와 이달 중 단행될 것으로 보이는 개각에서 정치인 출신의 기용 가능성에 모아져있다.
우선 박 대표는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 당대표직을 유지한 채 재보선에 출마할 뜻을 이 대통령에게 밝힐 것으로 보인다. 김양수 전 국회의장 비서실장이 이날 재보선 출마를 공식선언한 상황이어서 이 대통령의 의중을 가늠해보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다만 당대표직 유지는 여당내에서 논란을 벌이고 있다. 조기 전당대회를 원하고 있는 친이(친이명박)계는 박 대표가 재보선에 출마하려면 대표직을 내놓고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공성진 최고위원은 “박 대표가 대표직을 유지한 채 출마하면 야당은 정권심판으로 선거전을 몰아갈 것”이라며 “이는 여당에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반면 친박(친박근혜)측은 박 대표가 대표직을 내놓을 경우 조기 전대를 통해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복귀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고 판단해 이를 반대하고 있다. 이 전 최고위원이 복귀한다면 내년 지방선거의 공천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이와 함께 이번 회동에서 개각시 정치인 입각에 대한 의견도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여권은 지금껏 당정청 소통강화 차원에서 정치인의 입각이 필요하고,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 추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통합형’ 인사를 해야 한다고 주문해왔다. 이런 당의 여론을 박 대표가 이 대통령에게 전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화합과 결속을 위해 친박 인사의 중용을 건의할 가능성도 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국정안정 차원에서도 이번만큼은 이 대통령이 정치인을 등용할 필요가 있다”며 “친이·친박을 가리지 말고 고루 기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