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2.6% 성장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2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 2분기 GDP는 전기에 비해 2.6% 증가했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2.3%) 대비 0.3%포인트 높은 것이다.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 낮은 수치다.
한은은 속보치 발표 이후 입수한 6월분 산업생산지수와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금융기관 등의 분기 결산 자료 등을 추가 반영한 결과 속보치에 비해 성장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전기전자, 운수장비 등 대부분 업종의 생산 호조로 전기 대비 8.9%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세 확대와 운수보관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증가전환으로 1.1%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전기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토목건설의 기저효과로 0.2% 감소했다.
실질 GNI는 전기 대비 5.6% 급증하며 3분기 연속 마이너스에서 상승전환했다. 이는 1988년 1분기 6.2% 이후 2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실질 GNI 상승은 실질 구매력이 증가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GNI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올 들어 무역수지 흑자가 이어진 데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가 승용차 등 내구재 및 서비스 소비지출 증가로 전기에 비해 3.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수장비 모두 전기에 크게 감소했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로 10.1%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7% 늘었다.
한편 한은은 당초 전망보다 GDP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올해 GDP 전망치를 수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정영택 국민소득팀장은 "7월 실물지표가 나왔지만 예상한 수준으로 경로를 밟고 있어 현재 1.6%로 예상하고 있는 연간 성장률을 그대로 이어갈 계획"이라면서 "8~9월 실물지표에 큰 변동 없는 한 당장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