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문의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공공주택 3만가구를 연내 추가로 공급한다.
이중 5000가구는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4곳에 추가로 들어선다.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는 3일 제28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올해 수도권에 공급될 공공 주택 물량을 3만가구 추가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중 2만5000가구는 대한주택공사나 한국토지공사가 공공택지내 민간공급 용지 중 미분양되거나 중도금 연체로 올해 공급계획에서 제외된 택지를 인수해 공급한다.
올해 1~7월 중 민간택지에서 건설 인·허가된 물량은 약 7만3000가구로 전년 동기(12만7910가구) 대비 42.7%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은 3만5926가구로 전년 동기(6만6755가구) 대비 46.2%가 줄어들었다. 분양가 상한제, 경기 침체 등으로 민간 건설사들이 사업을 뒤로 미뤘거나 포기했기 때문이다.
주공은 이번달말까지 4000억원을 투입, 인수계약을 마칠 계획이다. 또 올해 말까지는 주택사업 승인까지 마칠 예정이다.
주공이 인수할 민간건설 지연용지는 △수원호매실 3920가구 △시흥장현 1998가구 △화성봉담2 2745가구 △인천서창2 2520가구 등 16곳 1만9438가구에 이른다.
토공도 평택소사벌과 화성향남2에서 5741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한편 나머지 5000가구는 강남세곡, 서초우면, 하남미사, 고양원흥 등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에 추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올해 시범지구에 공급될 물량은 기존 3만가구에서 3만5000가구로 확대된다.
보금자리주택 공공분양은 이달 30일 모집공고를 거쳐 다음달중 사전예약 방식으로 청약접수가 시작된다. 또 시범지구 토지 보상비 3700억원 중 300억원은 올해 말까지 집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부문에서 올해 3만가구를 추가 건설하면 단기적인 민간부문 건설 위축을 보완할 것"이라며 "향후 주택 수급 균형과 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건설 지연용지 추진물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