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역시 삼성· LG·현대차 그룹별 ‘3인방’ 역시 그에 못지않은 두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가총액 증가세는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 증가분의 45%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 9개社 시가총액 증가분, 전체의 절반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삼성SDIㆍ삼성전기ㆍLG전자ㆍLG화학ㆍLG디스플레이ㆍ현대차ㆍ현대모비스ㆍ기아차 등 9개 종목 시가총액은 작년 말 119조2471억원에서 8월 말 231조7792억원으로 112조5321억원(9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은 576조8875억원에서 829조2161억원으로 252조3286억원(43.7%) 늘었다. 이들 9개 종목이 코스피 시총 증가의 44.6%를 담당한 것이다.
성장세 측면에서 삼성SDI와 삼성전자는 삼성전자를 훨씬 웃돌았다.
이 기간 삼성전자 시총이 71% 증가하는 동안 삼성SDI와 삼성전기는 각각 169%, 168% 급증했다. 몸집이 거의 세배 불어난 셈이다.
현대·기아차그룹 내 기아차역시 현대차 성장세를 압도했다. 현대차가 168% 몸집을 늘리는 동안 기아차 시총은 181% 성장했다. 현대차를 능가하진 못했지만 현대모비스 증가율 역시 133%에 달했다.
LG그룹에선 LG화학 시가총액이 134%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이어 LG전자(91%), LG디스플레이(76%) 순이었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증시를 주도하는 대형우량주가 상승세를 보이면 이어 코스피 중소형 부품주에 파급효과가 나타나는데 그 과정에서 관련 종목이 동반상승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52주 신고가는 기본…기록 행진
이들 종목은 최고가 기록 경신에도 앞장서고 있다. 52주 신고가는 기본이고 상당수 종목이 역사적 고점을 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일 79만9000원으로 마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에는 80만원을 찍었다. 이튿날 삼성전자가 조정을 받자 이번엔 삼성전기가 9만9100원으로 최고가를 냈다. 장중 10만1500원까지 올라 사상 처음 10만원을 상회하기도 했다. 삼성SDI도 이날 15만85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LG화학 상승세도 눈부시다. 2일 LG화학은 최고가인 19만7500원까지 올랐다.
현대차 그룹에선 전달 28일 사상최고가인 14만7000원을 기록한 현대모비스에 이어 2일에는 현대차가 최고가인 11만5000원을 기록, 차례로 고점을 달성했다. 기아차 역시 1만8000원선으로 오르며 연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 'IT·車+녹색' 트렌드 주도
녹색테마 부문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 LG화학과 삼성SDI는 자동차용 2차전지 부문에서, 삼성전기는 발광다이오드(LED) 부문에서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현대모비스는 LG화학과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 차량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팩(모듈)의 개발과 생산을 전담하는 합작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가 LCD 패널의 상호 구매ㆍ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같은 업종을 영위하는 대기업 간에는 첫 상생모델이다.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프로젝트에 따라 지능형 차량용 반도체 칩셋 개발과제와 지능형 배터리 센서 적용 자동차 반도체 개발과제에 참여한다. 이에 앞서 4월엔 현대모비스가 삼성전자ㆍ삼성전기 합작법인인 삼성LED와 기술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자동차 헤드램프용 LED와 모듈의 공동 개발에 나서고 있다.
김세중 투자전략팀장은 “장기적인 주가상승을 위해서는 자동차와 IT 업종에 녹색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상승모멘텀을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