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07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에는 삼성전자, 포스코, LG화학, SK, 하이닉스, S-Oil 등 83개 기업 및 공공기관, 128사업장이 참여하고 있다.
2007년 이후 각 업체별 감축실적에 따르면 포스코가 61만 CO2톤으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LG 화학(35만 CO2톤), SK (24만 CO2톤), 삼성전자(22만 CO2톤), 한국남동발전(19만 CO2톤), GS 파워(16만 CO2톤) 등을 기록했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울산광역시청(4.5만 CO2톤), 전라북도청(1.6만 CO2톤), 용인시청(0.6만 CO2톤) 순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철강 등 금속(175만 CO2톤), 석유화학 등 화공(127만 CO2톤) 분야의 감축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업체들이 그동안 감축한 온실가스는 총 489만 이산화탄소(CO2)톤에 달한다. 이는 2000cc 승용차 245만대가 서울-부산을 왕복할 때 배출하는 이산화탄소(CO2) 량에 해당된다.
특히 올들어서 이달까지 자발적으로 감축한 온실가스는 203만 CO2톤으로 전년동기(117만 CO2톤)보다 73.2%가 증가했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향후 KCER제도를 대·중소기업 모두 자발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제도로 적극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련 규정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검증비용 지원을 비롯해 소규모 감축사업의 검증주기 현실화(1년→2년), 동일 사업장 내 번들링(Bundling) 허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용어설명 : 번들링이란
소규모 감축실적 여러 개를 하나의 사업으로 묶어서 신청하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으로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