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왜 이래"

국책은행들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시중은행이나 지방은행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퇴직연금 확정급여형(DB)에서 4번째로 많은 적립금을 쌓은 산업은행(3074억원)은 전체 13개 은행 중에서 가장 낮은 1.35%(6월 말 기준)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5번째로 적립금이 많은 기업은행(2083억원) 역시 1.38%의 저조한 수익률로 산업은행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는 부산은행 3.12%, 대구은행 1.70%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우리(1.54%), 신한(1.47%), 국민(1.69%), 하나(1.64%), 외환(1.77%) 등 시중은행과 비교해도 0.2~0.3%포인트 낮다.

결국 국책은행들은 퇴직연금의 66%나 차지하는 DB시장에서 시중은행(적립금 1조6404억원)과 지방은행(1520억원)들에 비해 밑지는 장사를 한 셈이다. 

총 퇴직연금의 25.7%를 차지하는 확정기여형(DC)에서도 국책은행들은 저조한 수익률을 올렸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DC형 수익률 2.03%, 1.71%를 각각 기록했다. 이는 전체 13개 은행 중 각각 10위와 12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꼴찌는 지난해 말 5.16%로 DC형 수익률 1위를 기록했던 수협(1.54%)이 차지했다.

수익률 1위는 2.45%를 기록한 국민은행이었으며, 신한은행 2.36%, 우리은행 2.28%, 하나은행 2.06%, 외환은행 2.12% 등도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부산(2.19%), 광주(2.04%) 등 지방은행도 국책은행들에 비해 안정적인 수익률은 보였다.

8.3%로 퇴직연금 중 가장 비중이 낮은 개인퇴직계좌(IRA)는 산업은행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려 체면을 차렸다.

산업은행은 2분기 4.11%로 13개 은행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2008년 말에는 -3.79%로 꼴찌를 차지했으나 2분기 만에 1위로 올라선 것이다. 하지만 기업은행은 1.39%로 13개 은행 중 12위를 차지했고, 수협은 0.91%의 저조한 수익률로 꼴찌의 불명에를 안았다.

지방은행은 IRA형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 부산은행 2.47%, 경남은행 2.06%, 광주은행 1.89%, 대구은행 1.85% 등을 각각 기록해 높은 운용수익을 나타냈다.

시중은행들은 우리ㆍ신한 각각 1.6%, 하나 1.49%, 외환 1.42% 등을 기록했다. 국민은행은 2.23%로 산업ㆍ부산은행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