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와 환경부, 중소기업청이 오는 25일 서울 하월곡동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對 유럽연합(EU) 및 일본·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제3차 REACH 대응 엑스포’를 연다.
20일 지식경제부는 국내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럽환경규제인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에 대한 대응 해법을 제시코자 한다며 행사 개최 배경을 밝혔다.
REACH는 EU 내에서 연간 1t 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등록하도록 하는 제도다. 연간 100t 이상의 물질과 위해성이 높은 물질에 대해선 우선 평가를 하게 되며 특정물질은 신고·허가·제한 대상이 된다.
이 제도는 지난해 6월부터 12월 1일까지 사전등록을 완료한 이후 본등록·신고·허가 절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 1일에는 유럽화학물질청이 REACH 신고대상물질(SVHC) 목록에 추가될 수 있는 후보물질 15종을 선정·공개해 현재 관계자들로부터 이에 대한 의견수렴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EU의 REACH 시행 이후 최근 중국과 일본 등 주요 수출대상국에서도 자국 화학물질제도를 REACH와 유사한 형태로 강화하는 움직임이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EU 뿐만 아닌 다른 국가 수출업계에서도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이번 REACH 엑스포에서 EU·중국·일본 등 해외 REACH 최신동향, 본등록 및 신고제도의 구체적 대응방안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국내 주요 컨설팅 업체와의 일대 일 상담 기회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 완제품 내에 신고 대상물질의 함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양식과 운영시스템을 소개하는 한편 EU의 각 회원국별로 제정되는 REACH 하위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작년 5월부터 이들 3개 부처가 공동 운영하고 있는 REACH 대응 공동추진단은 하반기에도 REACH 엑스포와 전국 순회 설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