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가장 유망한 창업 업종으로 외식업과 편의점, 건강서비스업 등이 꼽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3일 외식업과 편의점, 건강서비스, 의류, 미용, 유아용품, 아동조기교육, 성인 재교육, 노인용품, 자동차 애프터서비스 등을 가장 유망한 10대 창업 업종으로 선정했다.
조식과 간식을 위주로 하는 외식업은 중국의 맞벌이 문화를 반영해 가장 유망한 업종으로 꼽혔다. 중국에서는 맞벌이가 대세인 만큼 아침식사만큼은 외식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창업비용은 2만~10만 위안(354만~1770만원)에 불과하지만 매출액 대비 평균 이익률이 25~35%에 달해 6~9개월이면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시화의 영향으로 편의점도 전망이 밝다. 특히 인구가 500만명이 넘는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등 대도시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000달러를 웃도는 선전, 쑤저우, 우시, 항저우 등이 최적의 편의점 입지로 평가됐다.
약국과 한의원 등 건강서비스업 역시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초기투자 비용(50만 위안)은 상대적으로 많이 들지만 이익률은 35%로 높은 편이다.
의류업은 의류가 필수 소비재인 데다 창업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이 매력으로 평가됐다.
미용업 역시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최근에는 첨단기계와 천연 영양제품을 동원하고 미용강좌를 개설하는 등 사업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투자비용은 30만~50만 위안으로 적지 않지만 이익률이 높아 1년6개월이면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중국에서 매년 태어나는 유아가 1600만명에 달하고 0~6세의 영유아가 6900만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유아용품업도 시장성이 밝다. 투자비용은 15만~25만 위안 정도.
중국이 한 자녀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조기교육업도 각광받는 업종이다. 중국 도시가정의 절반 이상은 소득의 20% 이상을 자녀교육에 소비하고 있다. 성인 재교육업은 심화하고 있는 중국의 구직난을 반영한다.
이밖에 노인용품점은 연간 시장규모가 60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의 60~65세 도시 노인의 45%가 일을 하고 있고 42.8%가 예금을 보유하고 있어 성장잠재력이 크다.
자동차 애프터서비스업은 중국의 자동차판매가 급증한데 힘입어 향후 유망분야로 부상했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