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한국형 우주발사체 사업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1.5t급 실용위성을 우주로 실어 나를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을 위해 집행한 첫 예산이 교육과학기술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포함됐다고 29일 밝혔다.
항우연은 1.5t급 실용위성을 지상 600∼800㎞ 태양동기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과 발사 사업을 내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핵심인 한국형 발사체 자력 개발은 2017년이 목표다. 총 사업예산은 1조5449억원이다.
사업 내용은 △발사체 시스템 설계와 제작ㆍ시험 △고추력 액체엔진 개발 △발사체 시험과 시설ㆍ장비 구축 △발사체 체계종합과 운용 능력 확보 △발사체 비행시험과 실용위성 발사 등이다.
항우연은 2017년까지 발사대시스템에 대한 변경과 실용화 계획을 추진한다. 또 대형 액체추진기관과 구조경량화 기술을 확보하고 발사체 개발에 필요한 기반시설 구축 작업에 돌입한다.
이주진 항우연 원장은 “순수 우리 기술의 우주발사체 개발은 국력과 총체적인 과학 기술력을 상징한다”며 “국가위상과 신뢰도를 높이고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우주분야의 기술자립을 위해 기초·원천연구와 위성체 핵심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아주경제=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