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민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2012년까지 가맹점 1000개 이상을 가진 프랜차이즈 기업 1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한 총매출액을 국내총생산(GDP)의 8.6%인 113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것.
29일 지식경제부는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17차 회의에서 자영업자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랜차이즈산업 활성화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세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군에 국내 브랜드 3개 이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위해 우선 정부는 사업성이 돋보이는 유망 업종을 발굴해 5000만원 한도에서 초기 창업비용의 70%를 지원한다.
또 현재 2개 내외인 프랜차이즈 특화 창업보육센터를 2012년까지 5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내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프랜차이즈 아카데미도 설립한다. 이 곳에선 연간 200명 이상에게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영업지도 비용도 연간 1000개 가맹점에 점포당 100만원까지 지원한다.
정부는 경영혁신 역량 등을 종합 판단해 우수한 중소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선정되면 인력과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년 내에 사업별 추진지침도 개정할 예정이다.
영세한 자영업자와 중소 서비스기업의 프랜차이즈화도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 수퍼마켓 프랜차이즈화를 추진하는 점포들에게 정부는 89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화물운송 가맹점 가입비 50% 지원을 위해서도 총 12억원이 투입된다. 중저가 관광호텔 공동 브랜드 확산을 위해 직원 서비스교육 등 인센티브 제공에도 22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가맹점 창업을 늘리기 위해 창업자 및 전환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내년에 2000억원을 투입해 가맹점 전환시 점포정비와 인테리어 개선 등 1억원 한도로 자금 융자를 해주는 한편 모든 가맹본부가 2012년까지 정보공개서를 등록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한 예비창업자의 신뢰도를 높인다는 게 정부의 취지이다.
이밖에도 프랜차이즈 업종의 해외시장진출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시장조사부터 현지 파트너 모집까지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내년도 국제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가를 지원하는 등 현지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지난 5년간 자영업자 창업 대비 폐업 비율은 84%에 달했고 프랜차이즈 편의점 5년차 폐업률은 25%에 이르렀다”며 “이번 방안을 통해 서비스업의 비중이 18%로 증가하는 등 프랜차이즈 산업의 성장과 일자리 22만개를 신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