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촌에서 발생하는 톱밥 등 산림바이오매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산림탄소순환마을’이 국내에 조성된다.
29일 산림청은 오는 2014년까지 전국 11곳에 산림탄소순환마을을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온난화의 원인인 화석연료를 친환경 산림바이오매스로 대체하고 낙후된 산촌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산림청의 설명이다.
우선 산림청은 내달 30일까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내년도 시범사업 대상마을 1곳을 선정한다.
산림탄소순환마을로 선정되면 기존 난방시스템을 산촌의 숲가꾸기 산물, 폐목, 과수 전정목, 톱밥 등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보일러와 초절약형 단열재로 교체하게 된다. 주택과 공공시설, 다리 신축 시 목재 이용을 확대해 탄소배출도 줄인다.
마을의 녹색인프라는 인근 관광자원과 연계해 교육·체험·휴양·관광이 어우러지는 녹색 관광소득도 창출하게 된다.
산림청은 2014년까지 11곳의 산림탄소순환마을이 조성되면 약 346만ℓ(약 22억원)의 원유대체효과와 마을 당 822t 의 이산화탄소(CO₂)를 줄일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바이오순환림 조성,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생산 등 바이오매스 산업 활성화로 마을당 80여명의 녹색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도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이밖에도 산림청은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독일의 바이오에너지마을 등을 벤치마킹하고 향후 효과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마을운영협의체(법인)를 조직할 계획이다.
허경태 산림청 산림이용국장은 “산림탄소순환마을은 바이오순환림 조성, 숲가꾸기, 산촌생태마을 조성 등 다른 사업과 연계한 종합적 사업”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