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는 29일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채권 도입전략'이란 주제로 채권포럼을 개최했다.
올 들어 세 번째로 개최된 이번 포럼에서는 녹색채권 등 녹색금융 정책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제고 방안 등이 다양하게 논의됐다.
도건우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주제 발표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시행되면 녹색금융은 발전의 토대를 이룰 수 있다"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도 연구원은 현재 녹색금융의 제약요인으로서 △녹색기업이나 녹색프로젝트의 정의가 불명확하다는 점 △녹색기술의 사업화 가능성 및 경제성 평가능력이 미흡한 점 △장기 프로젝트(녹색 프로젝트)에 투자할 금융상품이나 투자자가 부족하다는 점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의 입법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향후 "자본시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녹색산업의 특성에 맞는 자금유입 메커니즘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녹색산업의 발전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정부와 시장의 적절한 역할 분담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패널발표자로 나선 윤영환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현재 입법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녹색채권이 은행이 발행하는 채권으로만 규정되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내비쳤다.
윤 위원은 "자본시장이 직접 녹색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녹색펀드 도입시 고려사항에 대해 김형호 아이투신운용 상무는 "녹색펀드는 벤처 캐피탈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자기간은 5~10년 장기로 하되 환금성을 제고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패널토론자로 나선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향후 방향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녹색산업에 대한 차별화된 지원을 위해 녹색산업 및 기술에 대한 적정한 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규제의 불확실성을 낮추는 정부정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주경제=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