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수입 4.6배

 
지난 3년간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구당 소득 상승률의 4.6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 김태원(한나라당) 의원은 8일 서울시에 대한 국감 자료에서 "2006년 7월 이후 지난 8월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은 평균 22.6% 상승한 데 비해 서울 가구당 평균소득은 4.9%만 올라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의 4.6배에 이른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국민은행과 통계청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2006년 7월 1404만원에서 지난 8월 1722만원으로 22.6% 증가했다.

이에 비해 서울 전체 가구의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이 기간 3천836만원에서 4천24만원으로 4.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서울 시민이 저축을 통해 아파트를 장만하는 데 걸릴 것으로 추정되는 기간도 3년 전에 비해 109㎡는 10.7년(30.2년→40.9년), 82.6㎡는 8.8년(25.7년→34.5년) 늘어났다고 김 의원은 분석했다.

이 기간 구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노원구가 59.9%로 가장 높았으며, 강북구(38.3%), 중랑구(37%), 도봉구(33.6%), 금천구(31.7%), 성북구(29.2%), 강서구(27%), 관악구(26.4%), 은평구(25.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는 각각 6.1%, 5.2%, 5%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 의원은 "오세훈 시장 취임후 한강·서남권·동북권 르네상스 등 각종 개발계획이 서울 집값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며 "서울시는 앞으로 개발계획 수립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